2012년 9월 24일 월요일

사장님, 박근혜가 그렇게 무섭습니까?


이글은 오마이뉴스 2012-09-24일자 기사 '사장님, 박근혜가 그렇게 무섭습니까?'를 퍼왔습니다.
[해직이야기②] 발행 중단까지 만든 '정수재단' 사태 그 후

▲ 사장이 기사를 빼라고 요구한 2011년 11월 18일 <부산일보> 1면에 실린 기사 '부산일보 노조, 정수재단 사회환원 촉구'. ⓒ 부산일보PDF

2011년 11월 18일. '정수재단 사회환원' 기사 메모가 보고되자 사옥 5층이 시끄러워졌다. 편집이사의 종용에도 기사를 삭제하지 않겠다고 하자 밖에 나가있던 사장이 급히 회사로 들어왔다. 

앞서 17일 부산일보 노조가 부산일보의 주식 100%를 소유하고 있는 정수장학회의 사회환원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했는데, 편집국은 이에 대한 관련 기사를 1면에 게재하기로 결정한 상태였다.

나는 사장에게도 기사를 뺄 수 없다고 말하고 편집국으로 내려왔다. 그렇다면 기사의 절반을 정수장학회 재단의 반론으로 채우라는 수정 요구가 내려온 것은 '기사를 빼라 못뺀다'는 실랑이로 신문 제작이 1시간 정도 지연된 뒤였다. 이미 마감시간을 훌쩍 넘어섰다. 이 역시 받아들일 수 없는 주문이었다.

기사를 빵틀에 넣고 찍어낼 수는 없지 않은가. 마지막으로 "그럼 제목이라도 바꿔라"며 사장실에서 '정수장학회 사회환원' 대신 '사장 선임권 갈등'으로 제목을 바꿔 적어넣은 지면 대장을 내려보냈다. 

사장 지시로 기사를 빼든, 제목을 바꾸든 무엇이든 들어준다면 편집권 독립은 포기하는 셈이다. 이번에 수용하면 다음부터는 자동이다. 그것도 못 하겠다고 하자 "그럼 알아서 해라. 대신 책임을 져야한다"라는 답변이 돌아왔다. 그날 신문은 예정보다 2시간 늦게 발행됐다.

결국 1면에 '부산일보 노조, 정수재단 사회환원 촉구' 제목으로 기사가 실렸다. 

신문을 발행하지 않은 기념비적인 날? 

2011년 11월 30일 수요일은 기념비(?)적인 날이었다. 66년 역사상 처음으로 사장의 지시로 그날치 신문을 발행하지 않았다. 정수장학회 문제와 관련된 기사를 또 실으려한다는 이유였다. 자신을 사장으로 임명해 준 정수장학회 재단 아닌가. 이를 해체하라느니 사회 환원 하라느니 하는 불충한 내용을 지면에 싣겠다고 했으니 펄쩍 뛸 만도 했다. 

"이런 신문은 발행하지 못 한다. 앞으로도 이런 식의 기사 실으면 계속 발행하지 않을 것이다." 

긴급 임원·자회사사장단 회의에서 이같은 말을 남기고 사장은 자리를 떴다고 한다. 이날 신문 대신 프린트 된 지면별 마지막 대장이 내 책상 위에 쌓였다.  

▲ 부산일보 사측이 이호진 언론노조 지부장에 대해 '면직' 결정을 한 가운데, '언론장악저지및지역언론공공성지키기 부산연대'는 2011년 11월 30일 오전 부산일보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규탄했다. 사진은 부산연대 회원과 조합원들이 사장 비서실에서 구호를 외치는 모습. ⓒ 윤성효

이날 오후 5시쯤 총무국 직원이 징계통보서를 들고왔다. '대기'. 편집국장 업무에서 손을 놓고 말 그대로 대기하라는 내용이었다. 이후 6개월 동안 인사사령을 받지 못하면 자동으로 해고된다.(이날 '대기' 징계에 대해 이후 부산지법이 부당하다고 판단을 내렸지만 회사는 올 4월에 다시 대기발령을 내렸고, 10월 18일까지 보직을 받지 못하면 자동 해고가 된다.)

4년여 동안 정수장학회 문제를 제기 해 온 이호진 노조위원장은 하루 전날 해고 통보를 받았다. 부산일보 노조 설립 이후 처음 있는 일이었다. 

지난 이십 수년 동안 사원 출신의 경영진과 사원을 대표하는 노조는 때로 티격태격하고 때로 협조하면서 지금의 부산일보를 만들어왔다. '정수장학회'에 대한 논란 자체가 경영진에게는 큰 타격을 주는, 그래서 노조위원장을 해고하면서까지 이를 막으려는 것이 부산일보의 현실이었다.  

신문제작 중단 지시... 그러나 윤전기는 돌았다 

다음날인 12월 1일. 그날도 사사(社史)에 기록될 만한 날이었다. 경영진의 저지를 뚫고 사원들의 힘으로 신문을 발행했다. 전날 사장의 지시로 신문발행이 중단된 데 대해 기자와 사원들의 불만, 그리고 불안감이 고조되어 있었다. 신문을 하루 발행 할지 말지는 사장 개인의 취향이나 만수무강 여부로 결정할 사안이 아니지 않은가. 

무엇보다 독자와의 약속이고, 또 일간신문이 하루는 나왔다가 하루는 안 나왔다가 한다면 앞으로 부산일보는 어찌될까. 무슨 일이 있어도 신문은 발행되어야 한다는 공감대가 사원들 사이에 형성되어 있었고, 노조 중심으로 그에 대한 대비책이 마련된 모양이었다. 

▲ 경영진에서 신문제작 중단 지시를 내렸지만, 2011년 12월 1일자 <부산일보>는 발행됐다. ⓒ 부산일보PDF

그날 기사메모에는 전날 신문발행이 중단된 이유와 나의 징계소식이 담겼다. 사장은 이 기사가 게재되면 또 신문을 발행하지 않을 태세였다. 마감 시간이 임박해 그 기사를 비롯해 모든 기사들이 출고를 끝내고 편집까지 완료됐다. 사장실에서는 긴급 간부회의가 열리는 등 바쁘게 움직였다. 

문제의 기사가 게재된 만큼 신문 제작을 중지하라는 지시가 내려진 모양이었다. 하지만 각 실국에서는 간부들을 배제한 채 노조원들 만으로 작업이 진행되고 있었다. 마감시간을 조금 넘긴 오전 11시 20분께 기자를 비롯해 사내에 있는 전 노조원이 지하 윤전실로 모여들었다. 낌새를 알고 이사들과 일부 국장들도 급하게 윤전실로 내려왔다. 

"이러면 안 돼"를 외치는 이사와 국장들을 노조원들이 에워싼 채 이호진 노조위원장이 윤전기 가동 스위치를 눌렀다. '윙'하는 소리와 함께 육중한 윤전기가 움직이는 순간 모든 사원들이 일제히 박수를 쳤다. 

정치, 사회, 편집부장 징계 축하쇼?
 

2012년 8월 10일. 송대성 정치부장과 이상민 사회부장에게 '정직 6개월' 징계가 통보됐다. 이병국 편집부장은 노조원이어서 징계를 하지 못했다. 이들 3부장은 앞서 회사가 이들만을 타켓으로 전격적으로 단행한 인사에 대해 '부당인사'라며 사령을 거부하고, 자리를 옮기지 않은 채 기존 부서에서 당당하게 업무를 계속 하고 있었다. 

정치부장은 국제부장으로, 사회부장은 문화부 선임기자로, 편집부장은 편집위원으로 이동하는, 좌천성 인사였다. 물론 이유는 기존 지면에 대한 경영진들의 불만이다. 징계사유가 '편향된 지면을 만들기 때문'이라나. 무엇이 어떻게 편향되었단 말인가. 죄라면 경영진들의 지면에 대한 요구를 "예, 예"하며 들어주지 않았다는 사실밖에 없다. 이들 부장은 징계 이후에도 꿋꿋하게 출근해 정상업무를 보고 있다. 

▲ 이정호 부산일보 편집국장(왼쪽에서 두번째)이 10일 오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 앞에서 정수재단 이사진 교체에 대한 박근혜 새누리당 대선 후보의 입장을 밝힐 것을 촉구하며 농성을 벌이고 있다. ⓒ 유성호

8월 23일. 편집국 사무실 안에서 난데없는 공연이 펼쳐졌다. '정치 사회 편집부장 징계 축하쇼.' 부장들의 징계 사태에 대해 기자들이 상황을 힘껏 비틀어 내놓은 것이다. '징계 규탄대회' 도 아니고 축하쇼라니. 그 발칙한 상상력에 감동하며 모처럼 모든 기자들이 마음껏 웃었다. 

그도 그럴 것이 '부장 3인에게 드리는 촌철살인의 축하글 낭송'에서는 부장들의 평소 비위사실(?)을 초임 기자들이 낱낱이 까발렸고, '언니 오빤 부일스타일' 말춤 배워보기 코너에다 점잖은 차장급 중견 기자들의 '썰렁한' 개그쇼까지 가미됐다. 

사실 지금의 부산일보를 지탱하는 힘은 바로 여기서 나오는 것이다. 지난해 말 노조위원장과 편집국장에 대한 징계 이후 편집국의 부·팀장들은 '편집국장 노조위원장 부당징계 철회와 편집권 독립 보장'등을 요구하는 성명서를 발표하고, 이후에도 줄곧 사안마다 행동을 같이해왔다. 

기자들도 각 기수별로 징계철회와 정수장학회의 부산일보 장악기도를 규탄하는 성명을 내는 등  '편집권 독립' 투쟁을 적극 지지해왔다. 실로 오랜만에 편집국을 메우는 기자들의 목소리. 이들의 힘이 아니라면 지금까지 10개월간의 싸움이 온전히 유지될 수 있었을까?

덧붙이는 글 | 필자는 부산일보 편집국장으로 재직하다가 회사의 징계를 받아 '대기 발령' 상태입니다.

이정호(news)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