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9월 18일 화요일

[사설] 쌍용차 ‘함께 살기’에 온 국민이 나서자는 호소


이글은 한겨레신문 2012-09-17일자 사설 '[사설] 쌍용차 ‘함께 살기’에 온 국민이 나서자는 호소'를 퍼왔습니다.

종교계를 대표하는 33명이 어제 원탁회의를 열고 쌍용자동차 사태 해결을 위한 ‘100일 국민실천’을 제안했다. ‘사랑합니다, 함께 삽시다!’라는 이름으로 쌍용차에서 계속되는 죽음의 행렬을 멈추게 할 행동에 온 국민이 나서자고 요청한 것이다. 종교인들의 호소가 밑거름이 돼 공동체의 지혜가 모이고, 그 지혜들이 쌍용차 사태 해결의 길을 열어줄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종교인들이 국민운동을 제안하고 나선 것은 쌍용차 문제를 더는 방치할 수 없다는 절박감 때문이다. 2009년 쌍용차에서 노동자 2646명이 해고되며 77일간의 장기파업이 벌어진 뒤, 지금까지 해고자와 그 가족 22명이 자살을 했다. 하지만 사태 해결의 기미는 보이지 않은 채 쌍용차는 오히려 우리 사회의 갈등과 반목, 무관심을 상징하는 존재로 자리잡았다. 쌍용차 문제를 상생과 화해의 방식으로 풀지 않는 한 공동체의 통합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해도 결코 지나치지 않다.쌍용차 사태는 언뜻 얽히고설킨 난마처럼 보이지만, 합리적 판단과 소통의 자세로 노력한다면 그다지 풀기 어려운 문제가 아니다. 경영위기를 이유로 노동자를 정리해고한 쌍용차의 결정이 올발랐는지, 쌍용차 구조조정과 외국 매각의 근거가 된 회계법인의 경영분석이 타당했는지, 농성 노동자들에 대한 경찰의 폭력적 진압 행위가 적법했는지 등을 따져 잘잘못을 가리고 책임을 물으면 된다. 회사 쪽이 2009년 당시에 ‘1년 뒤에 정리해고자 가운데 무급휴직자 461명을 복직시킨다’고 약속하고도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는 것 역시 따져봐야 할 핵심 사안이다.이런 점에서 20일 열리는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의 쌍용차 청문회는 사태의 진상을 파악하고 해결책 모색에 나서는 중대한 전환점이 될 수 있다. 청문회는 쌍용차를 둘러싼 다양한 쟁점의 시시비비를 가려 정치·사회적 합의점을 찾는 논의의 토대를 제공해야 한다. 이 토대에 기초해 쌍용차와 노조, 정치권, 시민사회, 종교계가 머리를 맞댄다면 해법은 찾을 수 있다.지난 3년여 동안 쌍용차 해고자들과 가족들은 스스로 목숨을 끊는 극단적 방식으로 공동체의 관심을 호소했다. 하지만 그들에게 우리 사회가 보낸 것은 외면뿐이었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종교계 인사들은 어제 대국민 호소문을 통해 “갈등과 대립이 없는 세상은 만들기 어렵겠지만 갈등과 대립이 생명을 위협하지 않는 세상은 만들 수 있다”고 밝혔다. 이제 ‘갈등과 대립이 생명을 위협하지 않는 세상’을 바라는 국민들이 그 호소에 답할 차례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