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9월 18일 화요일

[왜냐면] 자살학생 10명, ‘대구의 비극’은 우연인가? / 황선주


이글은 한겨레신문 2012-09-17일자 기사 '[왜냐면] 자살학생 10명, ‘대구의 비극’은 우연인가? / 황선주'를 퍼왔습니다.

최근 9개월 새 대구의 중·고교생 10명이 세상을 등졌다. 교사로서 비통한 심정이다. 유독 대구에 학생 자살이 많은 데 대해 대구시교육감은 ‘다른 지역보다 학생 자살이 많지 않다’거나 전직 대통령까지 들먹이다 여론의 몰매를 맞았다. ‘한 생명이 천하보다 귀하다’는 경구를 들먹이지 않더라도 남 탓으로 돌리려는 것에서 참담한 심정을 느낀다.교육 수장이라면 ‘대구 교육에 문제가 없는가?’라는 문제제기에 대한 자성과 ‘학생들이 왜 죽음을 택할까?’에 대한 고민의 흔적을 드러내고 사과와 더불어 사후 예방책으로 국민적 걱정을 덜어내야 할진대 남의 탓으로 일관하는 저의가 자못 안타까울 따름이다.학생 자살 소식을 접하면 ‘왜 유독 대구에서 학생 자살이 많을까?’ 생각해보게 된다. 대구 고교 교육의 특징은 학력 위주의 교육력 제고이다. 이를 위해 보충수업과 야간학습을 강제적으로 실시한다. 학생들은 이를 빗대 학교를 ‘감옥’이라 했을 정도이다. 교육청에서는 절대로 강제적으로 하라고 한 적이 없다고 변명할지 모르지만, 이런 결정을 둘러싼 일선 교장단의 강력한 카르텔은 학교교육을 옥죈다.교육감이 바뀔 때마다 창의성 신장은 양념 정도로 여길 정도다. 현 우동기 교육감의 교육 공약 1호는 ‘학력 신장’이고 구체적 실현 방안으로 ‘전 고교의 기숙사 건립’이다. 280억원 정도의 예산이다 보니 다른 예산이 줄어들었다. 내년에는 임시직인 사서교사들의 예산까지 삭감하면서까지 ‘우 교육감은 공약 챙기기’에 올인하고 있는 것이다. 학력 신장에 교육적 목표를 두었으니 ‘창의성 교육과 학교폭력과 왕따 없는 학교’ 만들기는 구색에 불과했을 것이다.강제적인 자율학습과 보충수업의 피해는 고스란히 교사와 학생들에게 돌아간다. ‘저녁이 없는 삶’이 과연 행복한 삶이라고 할 수 있을까. 점심, 저녁 식사를 학교에서 하다 보니 부모와 대화할 시간이 없다. ‘가정은 도덕상의 학교이다. 가정에서의 인성교육이 중요하다’는 경구를 놓치고 있는 것이다. 이는 가족관계, 사제관계, 교우관계에서의 대화와 상담 기회를 빼앗게 되고, 이런 악순환은 결과적으로 학생들은 공부하는 기계적 삶을 살게 한다. 이런 점에서 ‘교육의 목적은 기계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사람을 만드는 데에 있다’는 루소의 말이 절실한 시점이다.대구시교육감에게 당부하고 싶다. 대구의 전 고교 기숙사 건립 공약을 포기하라고 권하고 싶다. 그리고 강제적 보충수업과 야간학습을 전면 학생 자율로 해서 아이들에게도 ‘저녁이 있는 삶’을 보장해주라고 권고하고 싶다.교육정책의 제일 목표는 지식의 기계적 암기가 아니라 지혜와 재능을 길러주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기숙학교 건립이 아니라 도서관을 증축해야 하고 사서교사를 늘려주는 것이 옳은 방법이다. 그래서 아이들이 도서관에서 창의적 학습과 자율적 학습을 하도록 지원해야 한다. 동서양의 고전을 통해 삶의 지혜와 인생의 지침을 습득하고 제 인생의 삶을 스스로 창조하고 능력을 계발하도록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교육청이 앞장서서 강요하고 강제할 것이 아니라 지원자요 보조자여야 한다. 강제 교육은 결코 뿌리내릴 수 없다고 하지 않는가.‘교육의 목적은 인격 형성에 있다. 교육의 목적은 기계적인 사람을 만드는 데 있지 않고 인간적인 사람을 만드는 데 있다. 또한 교육의 비결은 상호존중의 묘미를 알게 하는 데 있다. 일정한 틀에 짜인 교육은 유익하지 못하다. 창조적인 표현과 지식에 대한 기쁨을 깨우쳐주는 것이 교육자 최고의 기술이다.’ 아인슈타인의 말이 절실한 것은 이런 이유에서다.

황선주 대구 성산고 교사·교육비평가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