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2월 29일 수요일

민주통합당이라고 쓰고 민주절망당으로 부르는 이유


내가 이글을 퍼온 이유는 한명숙이란분이 이런식으로 당을 이끌어가는 이유는 당신이 재판 받을때 국민들이 보여준 지지와 성원을 잘못 해석해도 아주 크게 잘못 해석하고 자의적인 해석과  오만한 해석이 결국은 국민들의 절대적인 외면으로 인하여 총선에서의 대패하여서 야권의 배신자로 남게된다는 사실을 알려주기 위함이다. 다시 한번 생각하고 이 오만을 바로잡기를 마즈막으로 간곡히 권해본다...
이글은 미디어스 2012-02-29일자 기사 '민주통합당이라고 쓰고 민주절망당으로 부르는 이유'를 퍼왔습니다.
[기자수첩]'못 살겠다 갈아보자'는 당신의 오늘은


▲ 민주통합당 한명숙 대표와 김진표 원내대표, 문성근 최고위원이 13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나란히 앉아 있다. ⓒ연합뉴스

몇 개월 전이나 지금이나 ‘콘텐츠’는 같다. 민주통합당의 한결같은 선거 구호는 ‘정권 심판론’이다. 못 살겠으니 갈아보자는, 자유당 때부터 야당이 써왔던 구호의 재판이다. 낡은 것이라고 무조건 나쁜 것은 아니다. 이 구호는 지난 1년 여 간 매우 적절한 문장으로 대중에게 각인되어 왔다. 이 구호를 들고 민주통합당은 ‘반MB'의 깃발로 야권을 ‘헤쳐 모여’시키는 데 성공했다. 일부 시민사회 세력이 민통당에 합류했다. 선거를 앞두고 구호는 이제 더 뜨겁게 달궈져야 한다. 그런데 벌써부터 싸늘하다. ‘못 살겠지만 갈아봤자 별 볼일 없을 것 같다’는 냉소가 만연하다.
왜 그럴까? 민주통합당이 흔들리고 있다. 선거를 아직도 한 달 여나 앞두고 있지만 분위기가 심상치 않다. 잠깐 새누리당을 앞서며 기세를 올리는 가 싶더니, 최근 여론 조사의 총선 예측은 박빙이며 누가 다수당이 될지 모르는 백중세의 판세다. 오르막이 있으면 내리막도 있는 법이라고 위안할 일이 아니다. 민심은 흩어지는 양상은 확연하다. 엊그제 시민사회 인사들의 진보통합당 집단 입당에서 보듯 민통당과 뜻을 같이할 수 있는 인재들이 흩어지고 있음은 주목할 만하다.
새 간판을 단 지 얼마 안 되었는데, 벌써 그 밥처럼 보이고 하나 같이 그 나물들만 보인다는 비판은 괜한 것이 아니다. 당의 사정은 총체적 위기, 아주 익숙한 정치적 실패의 빨간불이 들어왔는데 당 지도부가 대응하지도 못하고 있단 점도 불안 요소다.
자칫, 되치기 당할 상황이다. 급기야 28일 민통당의 ‘정권 심판론’에 맞서 새누리당은 ‘전 정권 심판론’을 꺼내들었다. 새누리당의 이종혁 의원은 민통당은 ‘부패 친노 세력의 재등장’이라고 힐난했다. 이 의원은 “스스로 '폐족'이라 칭했던 친노세력이 역사적 반성과 대국민 사과 없이 MB정부의 실정을 반사이익으로 국민의 망각을 이용해 다시 친노정권 수립을 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비난의 주최인 새누리당을 걷어내면 최근 민통당의 행보에 대한 가장 통렬하고 직설적인 비판일 수 있다.
물론, 현 정권에서 단물을 맛본 세력들이 임기 말에 전 정권을 심판하겠단 발상은 희귀하다. 언어도단에 가깝고 정치적 기만에 다름 아니다. 하지만 어이없는 비난이라고 싸잡아 무시하기 전에 짚어볼 만한 것은 있다. 그렇다면, 그럼에도 불구하고 왜 새누리당이 ‘전 정권 심판론’을 꺼내들었겠는가 하는 것이다.
자신들의 밥그릇 수호를 위한 최선의 활동, 그럴 수 있다. 급부상 중인 정치적 반대 세력에 대한 전 방위적 견제 차원, 그것도 분명 있을 것이다. ‘우리가 남이가’ 정서를 자극하는 고강도의 세력 모으기 립서비스, 그런 측면도 다분할 것이다. 하지만 이 모든 게 이유라고 해도 결국, 하나로 모아진다. ‘전 정권 심판론’의 단초는 민통당이 던졌다는 점이다. 본격적인 공천 국면에 접어든 이후 민통당이 보이고 있는 행보를 보고 있노라면 한창 때의 열린우리당에 못지않으며 그 무능함은 참여정부 말기와 다름없어 보인다.


▲ 네티즌들은 최근 민주통합당의 행보를 '민누리통합당'이란 패러디로 조롱하고 있다.
그래서 누군가는 민통당을 ‘민주절망당’이라고 부르고 또 다른 이름으로는 ‘민누리통합당’이라고도 부르고 있다. ‘새로움’을 약속했던 민통당의 공천 심사는 잊혀진 ‘탄돌이’들을 대거 귀환시키기 위한 통과의례 같기도 하고, 선거 때마다 안락한 당을 찾아 떠도는 ‘철새’들의 도래지를 자처하는 듯도 하다. 하여간 잡스런 정체성을 갖고 있는 이들의 이력을 말끔하게 해주는 ‘세탁소’ 역할을 자임하고 있는 것 같아 보인다. 능력 부족을 여실히 드러내며 당 지도부의 거수기 역할 외에 아무 것도 하지 못했던 탄돌이들이 ‘전직’이란 이유로 무혈 입성했으며 MB의 사조직이었던 선진국민연대 사무처장이 공천을 따내기도 했다. 이당 저당 옮겨 다니며 지역 패권주의에 기생한 이들이 ‘알려졌다’는 이유로 단수 후보가 되고, 심지어 아버지의 지역구를 고스란히 물려받는 전근대적 행위도 횡행하고 있다. ‘무죄 추정의 원칙’이란 법적 논리를 정치적 논리로 끌어올려 비리 혐의로 재판 중인 인사들마저도 공천을 따내고 있다.
그나마 참신한 인물들은 덫에 걸려 지역구에 탄탄한 조직을 갖추고 자금을 동원할 수 있는 기성 정치인들에게 막히고 있다. 이 과정에서 고소 고발이 난무하고 있고 불법적으로 공무원을 동원하네 마네 하는 볼썽사나운 난타전이 계속되더니 ‘홍어’라고 하는 상징적 뇌물까지 등장, 전직 동장이 모바일 경선과 관련해 압박을 견디지 못하고 투신자살을 하는 상황까지 치닫고 있다.
‘정권 심판’, ‘못 살겠다 갈아보자’는 정치적 정서의 핵심은 유권자가 선뜻 긍정할 수 있을 때 용인된다는 점이다. 그러나 심판도 하기 전에 이미 이긴 것처럼, 갈기도 전에 이미 갈려져야 할 대상이 되는 구태의 모습이 연출될 때, 못 살겠다 갈아보자는 정서는 정치적 냉소주의로 쉽게 변모된다. 지금, 민통당이 보이고 있는 행태는 딱 정치적 냉소주의를 환기하는 주문과도 같다. 최근 열흘 사이 민통당이 오락가락, 갈팡질팡하는 동안 10%대이던 ‘투표할 정당을 정하지 못했다’는 유권자의 수는 30%를 훌쩍 넘어섰다.      
선거도 치르기 전에 민통당은 노정할 수 있는 문제를 다 드러내 보이고 있다. ‘통합’의 정신은 ‘계파 나눠먹기’로, 한명숙 대표를 선출한 당심은 ‘친노+486’의 패권주의로, ‘외연 확대’의 기치는 원칙의 훼손으로 이어지고 있다. 좌충우돌이 있었지만, 새누리당은 뭔가 단절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거리에 걸려있는 새누리당의 현수막 홍보물은 확실히 세련되어진 모습이다. 반면, 민통당은 지금 오만하지만 무능하며 바깥에서 보기엔 그저 혼란스럽고 무질서해 보이기만 하던 자신들의 2000년대 중반 어느 날을 닮아가고 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