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4월 30일 월요일

[사설]이해찬·박지원, ‘담합 분란’ 결자해지해야


이글은 경향신문 2012-04-29일자 사설 '[사설]이해찬·박지원, ‘담합 분란’ 결자해지해야'를 퍼왔습니다.
‘이해찬-당대표, 박지원-원내대표’라는 ‘담합’을 둘러싼 민주통합당의 분란이 새 국면을 맞고 있다. 두 사람이 자신들의 담합을 추인했다고 주장한 원탁회의 인사들이 이를 부인하면서 이번 기회에 진실을 규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번 사태를 방치하다간 야권의 고비마다 역할을 해온 원탁회의의 위상 추락은 물론이고 당대표나 대선후보 선출도 그 파장에 휩싸일 수밖에 없다는 우려가 짙다. 두 사람의 냉철한 현실 인식과 당의 엄정한 대응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희망 2013, 승리 2012 원탁회의’의 좌장 격인 백낙청 서울대 명예교수는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 ‘이해찬·박지원 역할분담론’을 제안한 적이 없다”고 말했다. 백 교수는 특히 “원탁회의가 당내 일에 월권한 것으로 비쳐 당황스럽다”면서 “(그런 제안은) 원탁회의가 할 일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앞서 원탁회의 측이 자신들의 관련 사실을 부인하는 보도자료를 낸 것과 맥이 닿는다. 이 와중에 박 최고위원은 ‘절차적 하자’라는 모호한 표현으로 자신의 출마를 사과했으나 이 전 총리는 그것조차 없다. 누군가 원탁회의를 제 입맛대로 가공했을 공산이 커진 만큼 담합의 실체 규명이 우선적 과제로 부상한 셈이다.

백 교수의 지적처럼 원탁회의가 월권을 하면 그때부터 기능과 역할은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지난해 7월 발족한 원탁회의가 야권 내에서 나름대로 그들의 공간을 확보한 것은 그 어느 쪽에도 치우치지 않으려는 공평무사함, 오늘을 발판 삼아 내일을 설계하겠다는 역사인식을 잃지 않은 데 힘입은 바 크다. 하물며 잠재적 대선후보인 문재인 노무현재단 이사장까지 직간접적으로 담합에 연루됐다면 보통 문제가 아니다. 두 사람의 합의에 대해 ‘담합이 아닌 단합’이라던 문 이사장이 “이상적이라 생각하지 않는다”고 한 발짝 물러선 것도 뒤늦게나마 사태의 심각성을 헤아린 결과로 읽힌다.

두 사람은 ‘담합’의 실체를 고백하고, 무효를 선언해야 한다. 이 시점에서 담합의 고리를 끊지 않는 한 당대표를 뽑는 6월의 전당대회나 대선후보 선출도 그 파장과 후유증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구성원의 총의를 물어 대표를 선출하고, 그 대표가 조직을 이끄는 힘을 키우도록 함께 노력하는 게 민주적 리더십의 토대다. 그런 민주적 리더십은 비효율적으로 보일지라도 한번 구축되면 강력한 힘을 발휘한다. 지금 당이 맞고 있는 시련을 극복할 방법은 결자해지(結者解之)밖에 없다는 사실을 두 사람은 명심하기 바란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