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2월 27일 수요일

물고기·자라·고라니 잇단 '폐사'…금강에 무슨 일?


이글은 노컷뉴스 2013-02-27일자 기사 '물고기·자라·고라니 잇단 '폐사'…금강에 무슨 일?'을 퍼왔습니다.
금강 사태 벌써 잊었나…여전히 '손 놓은' 환경당국

지난해 금강 유역의 잇따른 이상 현상에도 '땜질식' 처방으로 비판받았던 환경당국이 여전히 안일한 태도로 빈축을 사고 있다.

지난해 물고기 떼죽음이 발생한 금강에서 이번에는 죽은 고라니와 자라 등이 발견됐지만 환경당국이 내놓은 대책은 사실상 없는 상태다.

금강 공주보 상류 1㎞ 지점에서 녹조현상과 악취에 이어 죽은 물고기 20여 마리와 자라, 새끼 고라니까지 잇따라 발견된 것은 지난 21일부터.

개체 수는 비교적 많지 않지만, 지난해 5만여 마리의 피해를 낳은 금강 물고기 떼죽음 사태에 이어 또 다시 원인을 알 수 없는 폐사가 발생하자 이 일대 주민들의 불안감은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금강유역환경청이 취한 조치는 사체를 수거한 뒤 원인 규명이 될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전부다.

자체적으로 동물의 폐사 원인을 규명하지 못해 전문기관에 의뢰해야 하는데, 그나마도 적당한 기관을 찾지 못해 수소문 중이다.

이번 사태에 대한 후속 대책 마련 등은 "고라니 폐사 원인이 나온 뒤에 결정"한다는 것이 환경청의 설명이다.

공주보 수문 개방으로 인한 영향 등 일부 환경단체의 주장에 대해서는 "공주보 수문은 수자원공사 담당"이라는 답변이 돌아왔다.

녹조와 악취 등에 대해서도 "자동 측정장치에 의한 수질 분석 결과 별다른 이상이 없었다"는 반응이다.

환경당국의 이 같은 대응은 지난해 물고기 떼죽음 사태 당시와 달라진 점이 거의 없다.

지난해 10월 사태 당시에도 금강환경유역청은 수질 분석만으로 "4대강 사업과는 관련이 없다"는 결론을 내리고, 타 기관에 폐사 원인 분석을 맡기는 것 외에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당시 물고기들에게 영향을 미친 환경 변화 요인 등을 적기에 파악하는데 실패하면서, 피해 규모를 키웠을 뿐만 아니라 현재까지도 원인은 '불명'으로 남아있는 상태다.

지난해 금강 물고기 떼죽음 사태를 거울삼아 생물사고 발생 시 대응 매뉴얼과 4대강에 대한 상시적 점검체계 등이 필요하다는 목소리 또한 높았지만 반영되지는 않았다.

양흥모 대전충남녹색연합 사무처장은 "왜 사고 났는지도 모르고, 대책을 어떻게 세울지도 답을 내놓지 못한 상태에서 이 같은 사고는 악순환이 될 수밖에 없다"며 "지금이라도 진상조사와 대책 마련으로 반복되는 비극을 막아야 된다"고 꼬집었다.

대전CBS 김정남 기자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