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10월 31일 수요일

구더기 끓는 물고기 사체... '수거 끝났다더니'


이글은 오마이뉴스 2012-10-30일자 기사 '구더기 끓는 물고기 사체... '수거 끝났다더니''를 퍼왔습니다.
[금강 물고기 떼죽음] 수거 끝난 현장, 아직도 죽은 물고기 다수 방치

이번 금강 물고기 떼죽음을 통해 집단 폐사 사고 대처에 근본적인 문제를 그대로 드러냈다. 수자원공사, 부여군, 충남도, 국토해양부, 환경부 등 모든 관할권을 빙자로 책임을 회피하기만 하여 사태를 키웠다. 

초기 대응만 제대로 했더라면 이 정도로 크게 번지지는 않았을 것으로 생각해본다. 환경부는 사고가 발생하자 물고기 사체를 감추기에만 급급하여, 주민들에게 물고기를 잡거나 섭취하지 않도록 고지하는 등 주민 안전에 대한 고려를 전혀 하지 않았다. 심지어는 그 와중에 낚시를 하는 사람들을 방치하기까지 하였다.

물고기 사체의 확산을 막지도 않아 지금 백제보 하류는 온통 물고기 주검으로 덮였고 비린내와 썩는 냄새가 진동하고 있다. 맑은 금강을 죽음의 강으로 만든 것이다. 지난 28일까지 물고기 수거에 나섰던 환경부가 수거를 중단하면서 파도에 쓸려온 죽은 물고기가 야생동물과 조류에 먹이가 되면서 머리가 사라지고 내장이 파헤쳐졌다. 한낮 상승한 기온으로 인해 구더기가 생기면서 시간이 지날수록 참옥한 환경으로 변하고 있다.

30일 오전 7시에 도착한 충남 부여군 석성면 봉정리 금강변. 죽은 물고기를 수거한 자루 근처에 미처 처리되지 못한 물고기 사체가 널려 있었다. 주변을 돌아보자 야생동물에 의해 물어뜯기고 파헤쳐진 사체가 보인다.

봉정리에서 좌안을 따라 논산시 성동면 개척리까지 3시간 정도를 걸었다. 환경청이 물고기 수거를 다 했다고 했지만, 이곳에는 아직도 죽은 물고기가 널브러져 있다. 모래 속에 파묻혀 방치된 물고기도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주변 풀숲으로 시선을 돌리자 어른 팔뚝만 한 물고기 사체에 구더기가 들끓고 있다. 상황이 이런데도 환경부는 처음에 그랬던 것처럼 감추기가 급급해 수거가 끝났다고 말할 수 있는지 한심한 생각이 밀려든다.

▲ 금강에서 제일 먼저 눈에 들어오는 물가나 습지에서 자라는 물억새 ⓒ 김종술

이경호 금강을지키는사람들 운영위원과 지역 방송사가 현장에 도착했다. 그들은 지금도 물고기 사체가 있는 곳으로 안내를 부탁했다. 다시 수풀을 헤치고 들어간 강변에서 촬영하던 기자는 연신 "와, 생지옥이 따로 없네요"라며 취재에 들어간다.

이경호 위원은 "지난 17일부터 시작된 물고기 떼죽음이 60만 마리 정도로 집계되고 있는데도 환경부는 5만 마리로 축소하고 있다"며 비판하고 "강변에 접근 자체가 어려울 정도로 악취가 심하고 금강에 물고기 씨가 말라버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원인에 대해서는 "4대강 사업이 벌어지면서 보와 준설로 인한 깊은 수심과 유속이 느려지면서 호수로 변해 강우기에 유입된 유기물질이나 녹조류 주검이 침상현상이 발생해 바닥에 퇴적된 용존산소 고갈이 일어나고 가을철 낮아진 기온으로 인해 산소가 급격하게 줄어들어 폐사한 것으로 보인다"고 예측했다.

이 위원은 "사고발생 13일이 지나고 있지만 환경부는 원인 규명도 못하고 있다. 원인 규명을 위해 금강유역환경청장 면담을 요구했지만 이마저도 거절당했다"고 분노했다. 마지막으로 이 위원은 "어제 발표한 민간합동조사단이 구성되면 모든 자료를 숨김 없이 공개하여 공유하고 신뢰할 수 있는 자료와 전문가 지역주민, 환경단체 등이 폭넓게 참여하여 금강 물고기 폐사의 원인을 밝히는 데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고 압박했다.

금강유역환경청의 담당자는 30일 기자와 한 통화에서 "환경부의 공식 수거는 끝났다"고 밝혔다. 나머지는 물고기 사체 수거에 대해서는 "보통의 경우 자치단체에서 대책본부와 상황실을 차리고 거기서 요청이 올 경우 환경부는 인력 등을 협조하는 차원으로 지원한다"며 "(남은 사체는) 자치단체에서 처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리고 기자가 봉정리에서 확인한 사체들에 대해서는 "자치단체와 통화해서 내일이라도 치우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김종술(e-2580)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