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4월 29일 월요일

수상한 MB 재산, 퇴임 후에도 의혹 증폭


이글은 진실의길 2013-04-29일자 기사 '수상한 MB 재산, 퇴임 후에도 의혹 증폭'을 퍼왔습니다.
[분석] 이자 지출이 수입보다 많다? 상식밖의 재산상태

역대 대통령 가운데 이명박 전 대통령처럼 재산 관련 의혹이 꼬리를 문 경우가 없다. 후보 시절 BBK 주가조작과 차명재산 관련 의혹이 불거져 후보 낙마 위기까지 몰리기도 했다. 큰 규모의 은닉 재산이 친인척 등 주변인에 의해 관리되고 있다는 항간의 소문도 많았다. 그 소문은 지금도 이어지고 있다.


“전 재산에 월급까지 기부하겠다”


2007년 12월 7일. 대선 선거운동이 정점에 달할 때였다. 재산형성 관련 잡음과 BBK관련 의혹으로 도덕성이 땅에 떨어지자 이명박 후보는 전 재산을 사회에 환원하겠다고 선언한다. 당시 신고된 재산은 부동산을 포함해 353억원. “우리 내외가 살 집 한 채만 남기고 전 재산을 내놓겠다”는 약속은 2009년 9월에야 이뤄진다. 331억을 기부해 ‘청계재단’이 설립됐지만 그마저 ‘무늬만 기부’아니냐는 논란이 불거진 상태다.



MB가 이미지를 회복하기 위해 국민과 약속한 게 한 가지 더 있다. 대통령에 당선이 되면 월급 전액을 기부하겠다고 선언했다. “공직에 있는 동안 월급을 장학금으로 쓰겠다”고 말하면서도 전 재산 기부 약속 등 이중의 기부행위를 하자니 속내가 불편했던가 보다. 2008년 3월 기자들에게 이런 얘기를 했다.


“사람들이 재산을 다 내놓으면 (불우이웃돕기와 장학금 지원 등을) 할 필요가 있겠느냐고 하지만 공직생활 동안 (월급을 기부) 하겠다고 했으니 계속하겠다.”


집 빼고 남은 재산 없어야 할 MB, 26억 빚내 집 증축


살 집 한 채를 제외한 나머지 전 재산에 월급까지 몽땅 기부했다면 남아있는 MB 재산이 거의 없어야 맞다. 하지만 32억원이나 들여 논현동 사저를 증축한 것으로 나타났다. 32억원 중 26억원은 빌린 돈이란다. 그러면서 2012년 2억3800만원이었던 채무가 1년만에 34억5070만원으로 늘어났다. 재산공개 내역을 보면 채무액 26억은 ‘사인간 채무’이고, 나머지 6억1270만원은 농협대출금으로 돼 있다.



문제는 ‘사인간 채무’다. 26억원이라는 거액을 싼 은행이자(이자율 5% 정도)로 빌렸을 경우를 가정한다 해도 월 이자가 1300만원에 달한다. MB의 ‘공직자 재산공개’에는 이자와 관련된 언급이 전혀 없다. 본인 입으로 전 재산을 사회에 환원했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1300만원에 달하는 이자를 어찌 감당할 요량으로 32억원이나 들여 집을 증축한 걸까.


퇴직연금으로 이자를 충당할 수 있을까? 어림없다. 현행법상 퇴임 대통령의 연금은 보수연액(연금지급일에 속하는 달의 연봉월액의 8.85배)의 95%를 연금으로 받게 돼 있다. 이렇게 계산하면 퇴직연금은 연 1억3500만원, 월 1125만원에 해당한다.


이자 지출이 수입보다 많다? 상식밖의 재산상태


싼 은행이자율로 계산해도 최소 월 1300만원의 이자를 내야하는데 수입은 이보다 적은 1125만원에 불과하다. 수입보다 많은 이자 지출을 감당하면서 집을 증축했다는 건 말이 안 된다. 상식의 수준으로는 최근 공개된 MB의 재산 상태를 이해할 수 없다.



둘 중 하나다. 무이자로 제공받은 돈이 아니라면 불법으로 은닉해 놓은 재산의 일부일 것이다. 26억원이라는 거액을 이자 없이 빌렸다면 연간 1억5600만원을 증여받는 셈이 된다. 대통령 재임 중 발생한 증여행위라면 대가성 여부에 따라 ‘뇌물’일 가능성도 있다. 만일 26억원이 숨겨둔 재산의 일부로 확인된다면, MB는 수년 동안 5000만 국민을 감쪽같이 속여 온 게 된다. ‘전 재산 기부’도 새빨간 거짓말이 되는 거다.


MB의 수행비서관인 임재현은 최근 언론과 전화통화에서 채무 26억원과 관련해 “논현동 집을 짓기 위해 필요한 돈이었지만 누구에게 빌렸고 차용증 작성과 이자 지금은 어떻게 했는지 등 자세한 내용은 밝히기 어렵다”고 말했다.


증여? 비자금? 뇌물? 은닉재산의 일부?


수상한 점은 또 있다. 2012년 1년 동안 예금액 증가(1억7620만원)가 ‘월급 전액 기부’ 약속을 지키지 않음으로써 발생한 게 아닌가 하는 의혹이다. 작년 MB의 연봉은 예금증가액과 비슷한 1억8000만원이었다. 이에 대해 임 비서관은 “청계재단 출연한 뒤 급여가 필요해 기부액수를 줄여왔다”고 해명했다. 국민에게 한 약속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았다는 얘기다.



내곡동 땅과 관련된 돈도 수상하긴 마찬가지다. 지난해 정부가 이 땅을 매입하면서 아들 이시형씨에게 건넨 11억2000만원의 행방이 묘연하다. 이시형씨는 매입자금 중 6억원을 큰아버지(이상은)에게 빌렸으며 나머지 6억원은 어머지(김윤옥)가 논현동 집을 담보로 대출받아 준 것이고 밝힌 바 있다. 11억2000만원 중에서 6억원을 큰아버지에게 되돌려줬다고 치자. 그래도 여전히 6억원이라는 농협대출이 남아있다. 어떤 이유일까.


MB에게 거액의 은닉재산이 있다는 소문이 떠돈 건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구체적으로 액수까지 거론된 경우는 ‘BBK 김경준’의 입을 통해서다. (주)다스 투자금 반환소동 과정에서 김경준이 미국법원에 서면으로 제출한 자료 가운데 “이명박씨가 불법적으로 재산을 모아 형제, 처남, 그리고 여러 법인을 통해 은닉해 왔으며, 그 규모는 6억달러(7000억원)에 이른다”고 주장한 바 있다.



‘7000억원 은닉설’, 'BBK법인'은 버진아일랜드와 관련 있어


재미 언론인 안치용씨는 자신의 저서 를 통해 ‘MB 은닉재산 7000억원’ 관련 얘기를 소개하면서 “이 대통령이 이 재산을 불리기 위해 자신과 누나인 에리카 김을 이용했다”고 진술한 김경준의 주장을 인용하기도 했다. 하지만 MB는 지금까지 BBK와의 관련설을 부인해왔다. 검찰은 MB에 대해 무혐의 처분을 내렸지만, ‘BBK와 (주)다스’등의 실소유주가 MB가 아니라는 것을 밝혀내지는 못했다.


BBK사건과 관련된 법인이 세계적인 조세피난처인 영국령 버진아일랜드(BVI)와 관련있다는 의혹이 증폭되고 있다. 그도 그럴 것이 ‘BBK투자자문’의 대주주였던 ‘BBK캐피탈파트너스’가 BVI에 소재한 페이퍼컴퍼니였다는 게 공공연한 사실이기 때문이다.



MB의 직위를 ‘Chairman’으로 소개한 2000~2001년 영문명함에는 MB의 소속이 ‘BBK capital partners’으로 돼 있고 이면에는 한글로 ‘BBK투자자문주식회사’라고 표기돼 있다.


BVI와 관련된 ‘BBK 법인’이 또 있다. ‘옵셔널벤처스’의 주가 조작에 개입한 것으로 알려진 ‘MAF펀드’ 역시 법인소재지가 BVI이었으며, ‘MAF펀드’의 주주는 MB가 김경준과 함께 공동대표로 있던 ‘LKe뱅크’였다. ‘MAF펀드’(자본금 1200억원)가 개입된 ‘옵셔녈벤처스’ 주가조작의 피해자는 5500명에 달했고 피해액도 천억원대를 넘어 논란이 된 바 있다.



수상한 재산상태...MB가 직접 해명해야


일개 개인이 아닌 전직 대통령의 재산상태가 의혹투성이라면 반드시 그 이유가 밝혀져야 한다. 전 재산을 기부해 더 이상 재산이 남아있지 않다던 사람이 어떻게 26억원이라는 거액을 빌려 집을 새로 지을 생각을 했을까. 수입보다 이자가 더 많은 상황을 어떻게 감당할 요량이었을까. 서민들의 ‘상식적 셈법’으로는 도무지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다.


이러니 MB의 ‘거액 재산 은닉설’이 꼬리를 무는 거다. 미국 LA에서 활동하는 ‘BBK 탐사블로그 유스타미디어’는 “작년 연말부터 MB의 형 이상득의 보조관이 8000억원에 이르는 환치기 돈 세탁을 시도해 LA 현지 지하금융업계에 소문이 파다하다”고 전하며 “MB의 형이 관련돼 있다는 소식이 알려지자 한국인이 손을 대기 꺼려해서 유태인계 업자 손으로 넘어간 상태”라고 주장했다. 물론 근거없는 소문일 수 있다. 하지만 이런 얘기가 나온다는 것부터 MB 스스로 자성해야 할 일이다.



후보 때부터 재산형성과 관련된 안 좋은 소문이 파다하더니 퇴임 후까지 이어지고 있다. MB가 국민이 납득할 수 있도록 해명해야 한다. 
은닉재산 등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이를 솔직히 밝히고 용서를 구하는 게 도리다. 전직 대통령이라는 자존감까지 내팽개치지 않기를 바란다.

육근성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