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7월 31일 화요일

노조탄압 용역회사 ‘컨택터스’의 급성장, 언론은 책임없나?


이글은 미디어스 2012-07-30일자 기사 '노조탄압 용역회사 ‘컨택터스’의 급성장, 언론은 책임없나?'를 퍼왔습니다.
언론매체, 2010·11년 ‘컨택터스’ 홍보 기사 무더기 게재

최근 ‘컨택터스(CONTACTUS)’라는 용역회사에 대한 성토의 목소리가 높아졌다. 컨택터스는 안산 자동차부품업체 SJM에 난입해 노동자들을 폭력으로 진압하면서 그 이름이 알려지기 시작했다. 이날 진압으로 SJM 노동자 십여 명이 머리가 찢어지는 등의 부상을 입었다.
여기서 눈여겨 볼 대목은 ‘컨택터스’라는 용역회사에 대한 언론사들의 반응이다.

▲ 2012년 7월 30일 한겨레 기사

(한겨레)는 어제(30일) ‘만도·SJM, 계획된 노조탄압 의혹’을 한 면으로 털어 컨택터스와 관련해 전면적으로 문제를 제기했다. 중앙일간지로서 유일하게 관련 문제를 제기했던 매체가 (한겨레)다. 그리고 31일 (경향신문)이 뒤이어 관련 보도를 하고 나선 정도다.
장하나 민주통합당 의원이 30일 컨택터스의 폭력성을 비판하면서, 이명박 대통령의 대선 당시 개인 경호를 맡았던 곳으로 짧은 기간 급성장했다는 점에서 의혹을 제기했으나 이를 받은 중앙일간지 역시 (한겨레)와 (경향신문)이 유일했다.  
(한겨레)는 30일 ‘SJM안산공장 용역폭력 어땠나’ 기사를 통해 “컨택터스 직원 200여명은 공장에 있던 날카로운 쇠붙이 부품과 소화기 등을 조합원들에게 던지고 무차별로 진압봉을 휘둘렀다”고 전했다. 이어 “적어도 11명이 골절 등 중상을 입는 등 34명이 크고 작은 부상을 입었다”며 “현행 경비업법상 경비업체 직원은 경비업무의 범위를 벗어나 위력을 과시하거나 물리력을 행사할 수 없도록 돼 있다”고 컨택터스의 진압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
‘용역업체 컨택터스는’이라는 기사에서는 “물대포 차량 및 채증용 무인헬기까지 갖추고 있다”고 지적, “말이 사설 경비용역업체지 준경찰 수준의 고도화된 폭력기업”이라고 비판을 이어갔다.
그러나 문제가 된 ‘컨택터스’를 포털에서 검색해보면 재밌는 점이 발견된다. ‘컨택터스는 무폭력을 지향한다’는 등의 홍보성 기사들이 2010년 3월, 2010년 10월 그리고 2011년 2월과 2011년 6월 시기별로 여러 매체에서 검색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최근 컨택터스의 문제점을 앞장서 보도한 (한겨레) 역시 2010년 10월 14일 경제-PR기업에서 ‘최신 방어대응장비 구비한 경호경비업체 컨택터스 눈에띄네’라는 제목으로 “컨택터스는 기존의 집회와 시위 현장에서 흔히 볼 수 있었던 폭력과 충돌이 아니라 무충돌, 무폭력, 무사고라는 선진적인 집회 모형과 노사 협상 모델을 지향한다”고 소개했다.

▲ 2010년 한겨레 '컨택터스' 홍보 기사

▲ '프레시안'도 2011년 6월 30일 ‘컨택터스 “복수노조시대 분쟁사업장 안전 책임지겠다”’ 기사가 실렸으나 현재는 삭제된 상태다. 사진은 '프레시안'에서 '컨택터스'를 검색하면 나오는 화면 캡처.

해당 기사에서 (한겨레)는 “컨택터스의 주요 업무는 집회 시위 현장에서 노사간의 충돌을 방지하고 집회 및 시위대의 진입에 대응한 방어를 하며, 폭력이 야기되지 않도록 현장을 제어 관리하는 것”이라며 서진호 대표의 “시위 현장의 경호경비대는 선량한 시위대에 폭력을 쓰는 ‘망나니’가 결코 아니다”라는 인터뷰도 함께 실었다.
(경향신문) 역시 2010년 10월 12일 ‘최신방어장비 구축으로 시선 압도! 경호경비업체 컨택터스 눈길’, (서울신문)은 2011년 2월 11일 ‘경호경비 전문 컨택터스, 대응목적 수력방어 특수차량 국내 도입’이라는 제목으로 컨택터스 홍보에 열을 올렸다. 제목만 달리할 뿐 (동아일보), (연합뉴스), (YTN), (뉴시스), (세계일보), (아시아경제) 등 다양한 매체들이 해당 기간에 맞춰 컨택터스에 대한 홍보성 기사를 내보낸 바 있다.
대표적 진보매체인 (프레시안)도 2011년 6월 30일 ‘컨택터스 “복수노조시대 분쟁사업장 안전 책임지겠다”’ 기사가 실렸으나 현재는 삭제된 상태다.
이와 관련해 (한겨레) 한 관계자는 “홍보대행사를 통해 일괄적으로 들어오는 시스템”이라면서 “보도자료에 대해 평가를 해보려고 시도했으나 가능한 상황이 아니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보도자료를 게재하며 “월 1000만 원가량을 대행사로부터 받았으나 내부 문제제기가 많아 현재는 많이 줄어든 것으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언론개혁시민연대 추혜선 사무총장은 “비록 기업PR이 과거의 일이라고 하더라도 당시 검증 없이 거짓되고 과장된 홍보성 기사를 실었다면 언론들 역시 이번 SJM 사태에 대해 도의적 책임을 질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추혜선 사무총장은 “그동안 홍보성 기사에 대해 지적이 많았던 만큼 이번 계기로 관련 문제들에 대해 시스템 개선이 필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권순택 기자  |  nanan@mediaus.co.kr

댓글 없음:

댓글 쓰기